해외 주요국의 양자산업 투자 및 인재 격차 현황 분석 글로벌 컨설팅 그룹 맥킨지(McKinsey & Company)는 양자기술(Quantum technology)에 대한 투자와 기술적 진보, 인재 격차 등에 대한 모니터링 보고서를 발표(’23.4) 미국| 맥킨지(McKinsey&Company) 양자
중등직업교육 발전방안 교육부는 8월 24일(목), 디지털 시대의 주인공이 될 기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중등직업교육 발전방안」을 발표함. 특히, 현재 특성화고 입학자원 급감 및 진로미결정자 증가 등으로 중등직업교육 발전을 위한 전환 국면을 확보하고자 해당 방안을 수립('23.8) 관계부처 합동 스킬/재교육
AI의 문해·수리 역량 발전이 고용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인간의 두 가지 핵심 역량인 문해력(literacy)과 수리력(numeracy)에 대한 최첨단 AI의 성능을 평가하고, 고용 및 교육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23.3) 국제기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인공지능
국가전략기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Ⅰ) - 기술패권 경쟁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월 29일(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제3차 회의를 개최하고, 이차전지, 반도체·디스플레이, 첨단 모빌리티 등 3개 분야의 ‘국가전략기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Ⅰ) - 기술패권 경쟁분야’(이하 ‘전략로드맵’)를 심의 및 의결함('23.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반도체 디스플레이
미국 맥킨지(McKinsey&Company) 흑인, 라틴계,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 기술 인력 확대를 위한 보고서 발표 2023.08.29 미국 맥킨지(McKinsey&Company) <생성형 AI의 미래: 15가지 측면에서의 분석> 보고서 발표 2023.08.25 미국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생성형 AI가 HR 분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 발표 2023.08.24 국제기구 세계은행(World Bank) <혁신적인 한국: 성장을 위한 혁신 및 기술의 활용 보고서> 발표 2023.08.21 일본 문부과학성(MEXT) 대학의 교육내용 등 개혁현황 관련 보고서 발표 2023.09.08 일본 총무성(MIC) 각 부처 내 박사학위 취득자 및 석사, 전문직 학위 취득자의 고용인원 조사 결과 발표 2023.09.08 일본 문부과학성(MEXT) <박사과정 학생의 경제적 지원상황에 관한 조사연구> 보고서 발표 2023.09.04 미국 맥킨지(McKinsey&Company) 흑인, 라틴계,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 기술 인력 확대를 위한 보고서 발표 2023.08.29 미국 맥킨지(McKinsey&Company) <생성형 AI의 미래: 15가지 측면에서의 분석> 보고서 발표 2023.08.25 미국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생성형 AI가 HR 분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 발표 2023.08.24 미국 포브스(Forbes) 국제 기술인재 확보 경쟁에서의 미국의 지위 관련 기사 게재 2023.07.31 미국 딜로이트(Deloitte) 2023년 반도체 산업 전망 관련 보고서 발표 2023.07.31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 2023 미국 반도체 산업 현황 관련 보고서 발표 2023.08.03 미국 안보유망기술센터(CSET) 미국 국방분야 기술 인재 확보 경쟁 관련 보고서 발표 2023.08.12 일본 문부과학성(MEXT) 대학의 교육내용 등 개혁현황 관련 보고서 발표 2023.09.08 일본 총무성(MIC) 각 부처 내 박사학위 취득자 및 석사, 전문직 학위 취득자의 고용인원 조사 결과 발표 2023.09.08 일본 문부과학성(MEXT) <박사과정 학생의 경제적 지원상황에 관한 조사연구> 보고서 발표 2023.09.04 일본 일본학술회의(SCJ) <컴퓨터과학을 기반으로 산업경쟁력 강화를 추진하는 인재육성 및 생태계의 방향성> 제안서 발표 2023.09.01 일본 일본학술회의(SCJ) <대학·연구기관에서의 남녀 공동참여 추진과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제안> 발표 2023.08.29 일본 문부과학성(MEXT) 「세계×학습계획」 정책패키지 발표 2023.08.29 일본 문부과학성(MEXT) 대학원 관련 참고자료집 발표 2023.08.22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외 <메타버스 산업 혁신 발전 3개년 액션플랜('23~'25)> 발표 2023.09.08 중국 베이징시(北京市) 글로벌 청년 인재 매칭 행사 개최 고시 2023.09.07 중국 하이테크개발구(高新区) 과학기술 연구보조직 창출 목표 달성 고시 2023.09.08 중국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NSFC) <교육, 과학기술, 인재 통합과 과학기금의 발전전략> 포럼 개최 2023.08.31 중국 국무원(国务院) 청년 과학기술인재 양성 및 활용 강화에 관한 조치 발표 2023.08.27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전자정보 제조업 2023-2024년 안정 성장 행동 방안에 관한 통지 발표 2023.09.05 중국 국무원(国务院) 허타오선강(河套深港) 과학기술혁신협력구 선전단지 발전계획에 관한 통지 발표 2023.08.29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UKI2S의 1억 파운드 지원 및 투자 현황 고시 2023.08.24 영국 교육부(DfE) 15개의 새로운 자율학교(free schools) 개교 고시 2023.08.22 영국 영국 정부(Gov of UK) 영국 쉐브닝 장학생(Chevening Scholar) 관련 고시 2023.08.10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AI 보건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자금 지원 고시 2023.08.10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영국의 독립 연구 펠로우십(IRF) 지원 고시 2023.07.27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리서치 잉글랜드의 대학 연구 및 지식교환 예산 발표 2023.07.19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Innovate UK를 통한 1,300만 파운드 투자 고시 2023.07.05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EIT Digital과 EBAN의 유럽 기업가 정신 활성화 방안 발표 2023.08.21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여성이 주도하는 모빌리티 중심 스타트업 선정 고시 2023.08.10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유럽 딥테크 촉진을 위한 협력 고시 2023.08.07 유럽연합(EU)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고등 교육 현대화를 위한 Erasmus+ 자금 지원 프로젝트 선정 고시 2023.08.03 유럽연합(EU) 유럽연구위원회(ERC) Proof of Concept Grants 지원 대상 신규 프로젝트 고시 2023.07.27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인공지능 전문가 및 사이버 보안 교육 이니셔티브 고시 2023.07.26 유럽연합(EU)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유럽 연합의 방위 기술 및 혁신을 위한 12억 유로 고시 2023.03.30 기타 사이언스(Science) 여성 및 흑인 연구자가 복수의 NIH 연구비를 지원받을 가능성이 낮다는 기사 보도 2023.02.28 기타 네이처(Nature) 2022 과학기술 인력 현황 2022.12.14 기타 네이처(Nature) 영국 내 연구자 파업 현황 및 원인 2022.11.29 기타 네이처(Nature) 2022년 글로벌 대학원생 설문조사 관련 기사 게재 2022.11.07 기타 네이처(Nature) 대학의 명성이 교수진 채용 및 유지, 연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2022.11.18 기타 네이처(Nature) 시진핑 3기 출범이 중국 과학계에 미치는 영향 2022.10.27 기타 사이언스(Science) 팬데믹으로 인한 STEM 박사 졸업생 수 급감 2022.10.19
해외 주요국의 양자산업 투자 및 인재 격차 현황 분석미리보기 해외 주요국의 양자산업 투자 및 인재 격차 현황 분석다운로드 해외 주요국의 양자산업 투자 및 인재 격차 현황 분석원문보기
관계부처 합동 | 2023.09.19 중등직업교육 발전방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3.09.19 국가전략기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Ⅰ) - 기술패권 경쟁분야 관계부처 합동 | 2023.09.19 글로벌 창업대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 대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3.09.21 해외우수연구기관 협력허브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3.09.21 온라인 수학∙과학 가상실험 환경 구축(R&D) 특허청 | 2023.09.21 여성발명진흥
양성 [2023] 대학원의 과학기술전공 재학생 충원율 학위·전공별 대학원 재학생 수 41,649명 학위·전공별 전체 대학생 수(재적생) 897,952명 주요국의 인구 백만 명당 과학기술분야 박사학위자 수 189.3명 유입더보기 성장 [2021] 학위·전공별 신규학위 취득자의 취업 현황(대학) 학위·전공별 신규학위 취득자의 진학 현황(대학) 진학률 10.3% 학위·전공별 신규학위 취득자의 진학 현황(석·박사) 진학률 11.7% 유입더보기 활동 [2022] 이공계 분야 전공자 고용률 학위별 과학기술분야 전공자 취업 현황 석·박사 62만명 과학기술직종·연관직종 취업자 현황 294만명 유입더보기 환경 [2023] 고등교육 이수율(IMD) 두뇌유출지수(IMD) 36위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 부합도(IMD) 46위 QS 세계대학랭킹 5개(100위권) 유입더보기 간행물 01 / 12 최신보고서 정책연구보고서 통계보고서 간행물더보기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미리보기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미리보기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다운로드 2023.03.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미리보기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다운로드 2022.10.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 과학기술인재정책 플랫폼(HPP) 브로셔미리보기 과학기술인재정책 플랫폼(HPP) 브로셔다운로드 2022.06.1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인재정책 플랫폼(HPP) 브로셔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 디지털·비대면 분야 유망 신직업 중점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미리보기 디지털·비대면 분야 유망 신직업 중점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다운로드 2021.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디지털·비대면 분야 유망 신직업 중점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미리보기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다운로드 2021.04.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 과학기술인력 육성 성장 체계의 미래 - 출연연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체계를 중심으로미리보기 과학기술인력 육성 성장 체계의 미래 - 출연연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체계를 중심으로다운로드 2020.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인력 육성 성장 체계의 미래 - 출연연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체계를 중심으로 제4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9~’23) 수립 및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미리보기 제4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9~’23) 수립 및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다운로드 2019.02.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제4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9~’23) 수립 및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4차 산업시대 전략적 해외 과학기술 인재유치 및 활용 종합계획 수립 연구미리보기 4차 산업시대 전략적 해외 과학기술 인재유치 및 활용 종합계획 수립 연구다운로드 2019.02.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4차 산업시대 전략적 해외 과학기술 인재유치 및 활용 종합계획 수립 연구 미래 일자리 창출-연계 촉진을 위한 현장 수요 기반 이공계 인력 육성 방안 연구미리보기 미래 일자리 창출-연계 촉진을 위한 현장 수요 기반 이공계 인력 육성 방안 연구다운로드 2018.02.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 일자리 창출-연계 촉진을 위한 현장 수요 기반 이공계 인력 육성 방안 연구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미리보기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미리보기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다운로드 2023.03.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미리보기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다운로드 2022.10.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 2021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미리보기 2021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다운로드 2022.06.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 2021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미리보기 2021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다운로드 2022.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 2021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미리보기 2021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다운로드 2021.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 공지 16 2023.06 [안내] 과학기술인재정책 플랫폼(HPP) 개편 안내! 공지더보기 뉴스레터 HPP 웹진을 구독하고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입력한 메일 주소로 HPP 웹진을 받아 보실 수있습니다. 신청하기 뉴스레터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