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가전략기술 신속 사업화 총력 지원
1-2 혁신거점·실증지원 인프라 확충
□ (전략기술 혁신거점) 연구·사업화 + 인재양성 + 지역발전을 포괄하는 특별법 기반 ‘BIG 100’을 육성, 전략기술 성과를 신속하게 현장으로 전환
① (특화연구소) 분야별 역할분담에 따라 담당 부처가 핵심 R&D 사업을 연계한 거점기관을 지정하여, 글로벌 경쟁·협력에 참여하도록 집중 지원
ㅇ (기능) 소관 전략기술 분야 민관협력 R&D 허브로서, 기술 발전주기별 성과창출형 연구와 함께, 핵심인재 양성 및 국제협력을 종합적으로 추진
② (전략기술 특화교육기관) 여러 전략기술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공통R&D 인재를 양성하는 유연한 지원체계 마련
ㅇ 단기적 기술트렌드가 아닌 연계분야간 공통 기반기술 강화를 위한 학·석·박 연계. 관련 전공·교과목 신설 및 전략기술 전문가 네트워킹 지원
ㅇ 4대 과기원 內 전략기술 거점 마련을 시작으로, 출연연 등으로 확대
□ (대학 연구그룹) 대학 內 장기·안정적 연구를 통해 전략기술 분야 기술축적, 인력양성, 산학연 협력 등을 주도할 연구그룹 육성
ㅇ (스타트업 협력 거점) 전략기술 분야 우수 대학연구소와 스타트업이 팀을 이뤄 공동연구·사업화, 인재양성 등을 수행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 구축
□ (기업 혁신활동 기반)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연구성과를 빠르게 흡수하여 혁신으로 이어나갈 수 있는 역량(흡수역량) 제고
ㅇ (기업 공동연구소)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진 중소‧중견기업에 출연연‧대학 內 공간‧인력‧기술‧연구인프라 등을 종합 지원
1-4 산업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 (핵심인재 양성체계) 범부처 협업을 통해 인력현황 분석 및 연구‧산업 현장 진단을 토대로 기술수준·특성별 맞춤형 확보방안 추진
ㅇ (특성화 대학원 확대) 12대 전략기술 분야별 석박사, Post-Doc급 핵심인재 확보를 위한 융합·특성화 대학원 지원 확대
ㅇ (재직자 역량강화) 국가전략기술 분야 재직자 대상 전문이론 교육, 동료학습, 문제해결형 프로젝트를 결합하여 현장에서 즉시 투입·활용 가능한 인재 양성
□ (데이터 기반 전략기술 인재정책 고도화)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통합하여 인재 생애전주기에 걸친 체계적 지원 기반 마련
① (12대 국가전략기술 인력지도) 전략기술 분야별로 글로벌 핵심인재 분포를 파악하고 국제협력 현황, 연구트렌드 변화 등 입체적·다각적 분석 추진
ㅇ 수준별 연구자-연구분야 연계・심층분석을 통해 글로벌 대비 연구자 강점・공백분야 분석 및 연구트렌드 시계열 변화 경향 파악
② (국가전략기술 직무분석)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이차전지 등 산업성숙도가 높은 분야에 대해 산업현장의 직무별 인재 상세 요구사항 분석
ㅇ OCR(광학문자인식) 처리, LLM 기반의 기계 학습 모델 등을 활용하여 비정형 형태의 채용공고 원문 데이터를 분석
③ (연구자-산업간 연계·분석) 연구자정보(IRIS)와 고용정보(고용보험DB) 간 연계·분석을 통해 국가 R&D사업 참여인력의 고용흐름 파악
ㅇ 전략기술 코드로 분류된 과제를 수행한 연구자의 진출경로 분석을 통한 연구개발 사업의 전략기술 인재 양성 성과 분석
□ (글로벌 연수지원 강화) 투자 효과성 제고, 수요자 중심의 사업 방식 전환 등을 통해 범정부 글로벌 연수지원 사업 개선 추진
ㅇ (글로벌 R&D 프로그램화를 통한 사업 구조 정비·체계화 및 공백·추가수요 분야 발굴을 통해 연수지원 사업의 투자 효과성을 제고
ㅇ 범부처 통합정보 및 가이드라인을 활용해 사업 유형별 기간·내용 제공 내실화
□ (글로벌 우수인력 유치) 재외한인연구자, 신흥국 젊은 우수연구자 등이 우리나라에 장기간 정착·연구할 수 있는 전략기술 인재 용광로 구현
ㅇ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25.1. 시행)에 따라 산업계 비자특례 (가족 포함) 부여와 동시에 정주지원, 해외우수인재 유치 행사 등 추진
ㅇ 연구자 가족의 국내 정착까지 지원하는 부처 추천 비자 우대(사이언스 카드) 제도를 개선하고, 주거·자녀학업 등 정주여건 전반에 대한 인센티브 확충
□ (핵심인재 이탈방지(retention)) 전략기술 분야 핵심인재의 해외유출 방지 및 연구 완결성을 위한 생애업적 기반 지속연구 지원
ㅇ 최고급 인재 외에도 저출생에 따른 공급감소가 예상되는 산업현장·연구지원 실무인력 확보 및 고경력·경력단절 과학기술인 활용도 지속 강화